일상 정보 이야기

집값 하락세 언제까지 일까? 2023년 이후 전망을 알아보자

지끈노 2023. 8. 16. 15:51

대한민국 집값이 하락세인 이유 중 큰 이유가 되고 있는 금리인상과 전세사기로 인한 실구매들의 심리적 부담감과 정부적 차원의 소극적 대응

높은 금리 인상으로 인한 매매 수요의 변화

국민의 대다수는 실제 보유한 금액보다 훨씬 많은 집 구매 가격을 해결하기 위해 집을 담보로 은행에 대출을 받게 되는데하지만 높은 금리인상으로 납입이자에 큰 부담을 느끼면서 매매의 수요가 전세로 넘어가고 전세에서 월세로 바뀌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와같이 전세가율이 작아져도 비싼 금액의 이자부담으로 집을 구매하는데 많이 어려움이 있죠. 이로인해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아 침체기가 발생됩니다.우리나라 전세시스템은 집값을 지탱해 주고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데 전세가가 급등하고 가격 변화가 생기면 그 기준치로 매매호가가 잡히게 됩니다. 그런데 집값이 하락하면서 전세가도 동반 낮아지고 경매나 새로운 저가의 매도가 발생할 경우 시장가격보다 하락해서 심리적인 하락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요즘 신축빌라전세 사기로 피해를 입으시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는데요, 이로 인해 시장 심리가 위축되고 눈치만 보게되는 상황이 되면 전세를 신뢰하지 못하게 되어 월세로 갈아타는 경우가 늘어납니다. 이로 인해 전세의 수요가 점차 없어지게 되어 매매가도 덩덜아 같이 하락하게 됩니다.

 

집값이 하락하면 좋은것 아닐까요?

그럼 이런 궁금증이 발생됩니다, 집값이 하락하면 좋은게 아니냐는 생각입니다. 우선 큰 테두리안에서 발생되는 양상은 대출을 받으셨다면 금리인상으로 납입금 부담이 커져서 파산등 경제적 손실로 인해 제2의 IMF가 올수도 있고,집값 하락으로 인해 전세가가 매매가를 넘어서는 역전세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그럼, 집주인은 임차인에게 그 차액을 돌려주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됩니다. 즉, 이를 깡통전세라고 부르는데  일명 "전세가》매매가" 이렇게 되는거죠. 집값하락에 의해 갭투자들은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됩니다.그래서 정부는 부동산 규제와 세금, 대출 등에 규제 완화정책을 진행하고 있고 집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공급대책도 시행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집값이 하락하는 전체적으로 큰 이유

국외/국내의 경기 침제, 이로 인한 금리상승, 심리적 호재로 인해 무리하게 쌓아 놓았던 전국적인 아파트 공급, 금융위기, 자주바뀌는 정부정책 변화, 인구의 통계적 감소변화, 환경문제 및 지역별 요인, 너무나 높은 집값의 장벽,심리적 요인, 정부에서 진행하는 도시 개발 및 인프라 형성등 너무나 다양해서 어느 한 집단의 말보다는 좀 더 여유를 갖고 향후 집값이 하락하는 이유를 생각 보았으면 합니다.